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컴퓨터의 사이버 공격에도 견딜 수 있는 ‘양자 내성 암호 기능(PQC)’을 탑재하였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인공지능(AI) 기능을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삼성의 전략적인 조치입니다.
양자 내성 암호 기능(PQC) 도입의 배경
5일 삼성전자는 공식 뉴스룸을 통해 “양자 컴퓨팅 상용화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선 수집, 후 해독’ 공격을 대비하기 위해 갤럭시 S25에 PQC 기능을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비록 양자 컴퓨팅이 완전히 상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그에 따른 보안 위협을 미리 방지하려는 삼성의 선제적 대응입니다.
PQC는 양자 컴퓨터가 발전하더라도 해킹에 취약하지 않은 암호화 기술을 의미합니다. 기존 암호화 방식인 RSA, ECC, AES는 양자 알고리즘이 등장하면 그 보안성이 약화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합니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양자우주연구센터 석학교수는 “첩보기관에서 현재 사용 중인 RSA 암호를 수집해 두었다가 양자컴퓨터가 나오면 이를 해독하겠다는 말을 한다”며, “PQC는 현재 알려진 양자 알고리즘으로는 뚫기 어렵지만,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의 보안 솔루션: 녹스 매트릭스와 PQC 통합
삼성전자는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위해 자체 보안 솔루션인 ‘녹스 매트릭스’에 PQ EDP(Post-Quantum Enhanced Data Protection)를 도입했습니다. 기존 ‘향상된 데이터 보호(EDP)’ 기능은 사용자가 기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백업, 복원 또는 동기화하는 과정에서 종단 간 암호화로 보호합니다. 이제 여기에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을 통합하여, 보안성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김정현 삼성전자 소비자경험(CX) 실장(부사장)은 “갤럭시 S25 시리즈는 사용자 패턴과 취향을 분석하는 ‘PDE(Personal Data Engine)’를 최초로 적용했고, 이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녹스볼트를 이용해 온디바이스로 보호한다”며 “AI 폰의 개인화와 보안이 중요하기 때문에 녹스볼트에 PQC 기능을 도입했다”고 언급했습니다.
AI 기능 고도화에 따른 보안 강화
갤럭시 S25는 고도화된 AI 기능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더 많은 개인 정보가 활용됩니다. 이러한 AI 기능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삼성전자는 PQC 기술을 탑재하여 보안을 강화했습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 사업부장(사장)은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녹스볼트를 통해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온디바이스와 클라우드 기반 AI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의 경쟁력
삼성 갤럭시를 제외하면 PQC 기능을 도입한 스마트폰 제조사는 애플이 유일합니다. 애플은 작년부터 아이메시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PQC 기술을 활용해 왔습니다. PQC 기술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채택한 양자 암호 표준으로, 국제 보안 솔루션 기업들이 최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PQC 기반의 클라우드 데이터 보호를 지원해 다가올 양자 컴퓨팅 시대에 대비한 양자 내성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자신 있게 ‘연결된 세상’을 누릴 수 있는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AI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새로운 도약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 기능을 도입하여 AI와 보안을 동시에 강화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안전하게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양자 컴퓨팅의 위협에도 대비할 수 있습니다. 삼성의 이러한 선제적 보안 조치는 미래의 디지털 환경에서 더욱 안전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삼성전자의 기술 발전과 보안 강화를 통해 더 나은 디지털 환경이 구축될 것입니다.
'IT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IT 업계의 새로운 움직임 (0) | 2025.02.08 |
---|---|
구글,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 2.0 공개, 비용 효율성과 성능의 혁신 (0) | 2025.02.06 |
중국 AI 앱 '딥시크'의 인기와 개인정보 우려 (1) | 2025.02.04 |
스마트폰을 넘어: 오픈AI의 샘 올트먼, AI 전용 단말기 개발 추진 (1) | 2025.02.0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