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된 이후, 스마트폰은 우리의 일상 생활을 혁신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약 20년이 흐른 지금 더 큰 변혁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전용 단말기 개발을 추진하며 새로운 디지털 혁신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I 전용 단말기 개발 계획 발표
샘 올트먼 CEO는 지난달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AI 전용 단말기 개발 소식을 전했습니다. 그는 새로운 단말기의 개발을 제휴를 통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애플의 대표 제품인 아이폰과 아이팟을 디자인했던 조니 아이브가 설립한 스타트업 ‘러브프롬’과 협력할 예정입니다. 올트먼은 새로운 AI 단말기의 시제품이 몇 년 안에 공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미 조니 아이브는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를 통해 올트먼과의 AI 하드웨어 프로젝트 협력을 밝힌 바 있습니다.
AI 단말기의 음성조작 인터페이스 혁신
샘 올트먼 CEO는 “AI는 컴퓨터와의 상호 작용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며, 이를 위해 새로운 단말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음성조작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애플이 터치 인터페이스로 스마트폰 시대의 사용자 경험을 혁신한 것처럼 AI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음성조작을 통해 구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닛케이는 이를 통해 구글이 인터넷 시대의 패권을 잡은 것처럼 AI 단말기를 통해 AI 시대를 이끌겠다는 오픈AI의 전략으로 해석했습니다.
반도체 개발과 AI 인프라 구축
생성 AI에 최적화된 반도체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올트먼 CEO는 자체 설계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도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성능을 극대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최근 중국의 딥시크가 더 저렴한 가격에 높은 성능의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주장하며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에 대해 올트먼 CEO는 딥시크의 AI 모델이 "분명히 좋은 AI 모델"이라고 평하면서도 "새로운 것은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그는 오픈AI가 이전부터 이 수준의 모델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더 나은 모델을 계속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AI 경쟁과 규제
올트먼 CEO는 중국의 AI 기술 수준이 미국을 많이 따라잡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권위주의 정부가 AI를 체제 강화를 위해 악용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습니다. 한편, 오픈AI는 오라클, 소프트뱅크 그룹과 협력하여 AI 인프라 합작회사 '스타게이트'를 추진 중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AI 인프라를 상류부터 하류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거대 사업으로, 반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할 예정입니다.
미국의 AI 정책과 국제규제 논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규제를 완화하여 AI 투자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올트먼 CEO는 트럼프 행정부의 AI 정책을 지지하는 이유에 대해 "미국의 AI 개발 주도는 세계 전체의 이익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AI 안전성 우려에 대해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같은 국제기구를 설립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중요한 기술에는 국제적인 틀이 이미 존재해왔으며, AI 또한 국제적 논의의 대상으로 삼자는 것입니다.
새로운 혁신과 변화에 대비
샘 올트먼 CEO가 이끄는 오픈AI는 스마트폰 이후의 새로운 혁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AI 전용 단말기와 음성조작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체 설계 반도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인 AI 규제 논의와 인프라 구축을 통해 AI 시대를 주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기술혁신과 글로벌 AI 경쟁에서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됩니다. 특히, AI 기술 발전이 우리의 일상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오픈AI의 향후 행보를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IT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IT 업계의 새로운 움직임 (0) | 2025.02.08 |
---|---|
구글,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 2.0 공개, 비용 효율성과 성능의 혁신 (0) | 2025.02.06 |
삼성, 갤럭시 S25 시리즈에 양자 내성 암호 기능 도입 (1) | 2025.02.05 |
중국 AI 앱 '딥시크'의 인기와 개인정보 우려 (1) | 2025.02.04 |
최근댓글